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코리아 원더풀” 세종학당 학생 15명 참가

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이 한국관광공사 LA지사, 세종학당(소장 안형미)과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획한 ‘2025 한국 문화 현장 체험’ 프로그램을 지난 6일부터 12일까지 성공리에 개최했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 방문 프로그램은 지난 2013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10회를 맞이했다.     LA를 비롯해 애리조나, 오하이오, 텍사스, 몬태나주 등에서 세종학당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듣는 수강자와 그들의 친지를 포함해 15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번 현장 체험에서는 광복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학습 중심의 문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 있는 창덕궁과 종묘 등 유적지를 방문해 한국의 깊은 역사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문화원 측은 ▶한글 캘리그라피 체험 ▶한국 전통 음식 만들기 ▶한국 드라마 및 영화 촬영지 투어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해 참가자들이 한국을 더욱 가깝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정상원 문화원장은 “이 프로그램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직접 한국을 방문해 언어와 문화를 체험하고, 한국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높이는 대표적인 문화 교류 행사”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관련 예산을 확충해 다양한 문화 체험과 교류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저변 확대 및 현지 한류 확산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준 기자게시판 한국어 수강자 한국어 학습자들 온라인 한국어 한국 문화

2025-04-14

'무료 교재 수수료' 물의 IKEN…교육원 조사 나서

세계한인교육자협회(IKEN)가 한국 정부로부터 거액의 기금을 지원받아 개발한 무료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KECOS)을 유료화한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얼어나는 가운데〈본지 12월 15일자 A-3〉, LA한국교육원이 수수료 관련 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 관계자들에 따르면 교육원은 최근 한국어반을 운영하고 있는 공립학교장 및 교사들에게 내년 1월 14일까지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 사용을 위해 지출한 비용을 알려달라는 공지를 발송했다. 교육원이 발송한 지출비 조사 이메일에 따르면 지난 2019~20학년도부터 2021~22학년도까지 3년 치다.   LA한국교육원의 신주식 원장은 “IKEN에서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 사용료로 얼마를 받았는지, 그 비용을 어떻게 썼는지 구체적인 운영기록을 요청했지만 받지 못한 상태다. 그래서 일단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사용비로 얼마나 들어왔는지 자체적으로 조사하기로 했다”고 취지를 밝혔다.     실제로 본지가 IKEN 김성순 회장에게 KECOS 운영비 사용처를 요청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현재 IKEN 이사장인 수지 오 박사는 본지의 요청에 “김성순 회장과 정지선 회계에 재정 내용을 확인하니 스쿨로지 비용으로 6500달러, 연간 이용료로 3000달러를 지출했다는 대답을 들었다”며 “KECOS와 관련된 건 김 회장이 사실상 혼자 운영하고 있어 나 역시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고 답했다. 스쿨로지는 LA통합교육구(LAUSD)에서 사용하는 학업관리 시스템으로, 학생과 교사, 부모들에게 학사 일정과 과제물 혹은 성적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교육원은 새해부터 KECOS 운영을 직접 맡는다.     신 원장은 “한국어 교사들에게 내년부터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은 무료라고 알리는 공지를 발송했다”며 “프로그램을 개발한 취지는 원활한 한국어 보급과 확산인 만큼 많은 공립학교가 좋은 교육자료로 사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0년 한국어 디지털 교재를 제작한 IKEN은 2012년에는 킨더가튼부터 12학년생까지의 한국어 온라인 커리큘럼을 만들고 지난해에는 한국어 온라인코스(레벨1~4)를 설치하는 등 온라인 교육 확대를 위해 준비해왔다.     IKEN이 운영하는 한국어 과정은 지난해 캘리포니아에서는 처음으로 UC에서 입학 지원 시 교과 과정( A-G 과정)으로 인정받는 과목으로 승인받았다. 현재 가주와 네바다주 일부 교육구에서 KECOS를 도입해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장연화 기자수수료 교육원 한국어 온라인코스 온라인 한국어 한국어 과정

2021-12-29

한국어 온라인 교육 IKEN 유료화 물의

세계한인교육자협회(IKEN)가 한국 정부로부터 거액의 기금을 지원 받아 개발한 무료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을 유료화 한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IKEN은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사용료라고 해명했지만 받은 돈을 어떻게 지출했는지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어 운영 관리에 의구심을 낳고 있다.   게다가 현재 회장을 맡고 있는 김성순 씨의 경우 온라인 프로그램 디렉터라는 명목으로 IKEN에서 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IKEN의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은 당초 전 세계에 한국어를 보급하겠다는 취지로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개발된 것이다.   이 때문에 개발 초창기부터 모든 학교나 학생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체 웹사이트에 온라인 한국어 프로그램을 개방해왔다. 하지만 IKEN은 최근 액세스 코드를 입력해야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교체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액세스 코드를 발급받으려면 사용료 명목으로 돈을 내야 한다. 학교에서 내는 사용료는 교재를 포함해 1인당 30달러, 사립 학원의 경우 1인당 100달러로 파악됐다. 사립 학원은 이를 다시 학생들에게 학기당 2000여 달러씩 받고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성순 IKEN 회장은 “교육비 구매 예산이 있고 구매 의사가 있는 교육구와 학교에 굳이 무료로 제공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에 비용을 받았다”며 “교사에게 사용료를 받거나 프로그램을 판매한 게 아니라 학교나 교육구에서 받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 회장은 이어 “받은 사용료는 IKEN 예산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수입이나 지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김 회장이 관리하고 있다. 김 회장은 관리비 명목으로 일한 시간을 계산해서 별도로 돈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름을 밝히기 거부한 한 교사는 “한국 정부의 돈을 들여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유화하고 있다. 전 세계에 무료로 한국어를 보급하자는 취지가 퇴색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사실을 확인한 LA한국교육원은 새해부터 IKEN이 운영하던 온라인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기로 했다.     LA한국교육원의 신주식 원장은 “한국어 온라인 프로그램은 학생이 소수이거나 한국어반 개설이 안 된 곳을 위해 만든 것”이라며 “엄밀히 말하면 IKEN은 위탁관리하는 기관이다. 이를 통한 수익창출은 온라인 프로그램을 도입한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 원장은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투명성을 강화하도록 하겠다. 또 시스템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별도로 마련하겠다”며 “새해부터는 한국어반이 개설된 학교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원하는 학교가 있다면 논의해서 사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0년 한국어 디지털 교재를 제작한 IKEN은 2012년에는 킨더가튼부터 12학년생까지의 한국어 온라인 커리큘럼을 만들고 지난해에는 한국어 온라인코스(레벨1~4)를 설치하는 등 온라인 교육 확대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왔다. IKEN이 운영하는 한국어 과정은 지난해 캘리포니아에서는 처음으로 UC에서 입학 지원 시 교과 과정( A-G과정)으로 인정받는 과목으로 승인받았다.           장연화 기자한국어 온라인 한국어 온라인코스 온라인 한국어 온라인 프로그램

2021-12-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